본문 바로가기
NEWS/ECONOMY TIP

코로나 백신 치료제 관련주 TOP 6,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상승 가능성?

by 아인(A.I.N) 2024. 8. 8.

코로나19가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수개월간 코로나19 감염이 확산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2024 파리올림픽에서도 최소 40명의 선수가 양성 반응을 보였습니다. 국내 상황도 심각합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19 신규 입원환자는 7월 1주 91명에서 7월 4주 465명으로 4주간 5.1배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백신 치료제 관련주 TOP 6,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상승 가능성?

1. 코로나 백신 치료제 관련주 TOP 6

1.1. 신풍제약(019170)

기업 소개 및 주요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

신풍제약은 1962년에 설립된 제약회사로, 최근에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를 코로나19 치료제로 전환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현재 국내 및 남아공에서 임상 2상을 완료하고, 글로벌 임상 3상 대상자 모집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필리핀에서도 임상 2/3상을 진행 중입니다.

주가 동향 및 전망

2024년에는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을 완료하고 상용화를 위한 다음 단계 개발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연구개발의 진전은 신풍제약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가는 연구개발의 진척 상황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2. 일동제약(249420)

엔시트렐비르정 개발 및 승인 현황

일동제약은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공동 개발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엔시트렐비르정'(일본 제품명 조코바)을 개발하여, 일본에서 정식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는 일본에서 첫 번째로 정식 허가를 받은 코로나19 치료제입니다. 일동제약은 시오노기로부터 생산기술을 이전받아 국내 생산 및 판매를 준비 중입니다.

주가 분석

일동제약의 주가는 엔시트렐비르정의 개발과 승인 소식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일본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출시와 함께 국내 시장에서도 생산 및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주가는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1.3. 한국비엔씨(256840)

안트로퀴노놀 생산 계획

한국비엔씨는 골든 바이오텍과 제조 관련 계약을 체결하여 국내 시설에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인 '안트로퀴노놀'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이는 회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가 동향

한국비엔씨의 주가는 안트로퀴노놀의 생산 계획 발표 이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앞으로 생산이 본격화되고, 시장에서의 반응이 좋을 경우 주가는 추가적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4. 현대바이오(048410)

제프티 개발 현황

현대바이오는 니클로사마이드를 코로나19 치료제로 재창출한 '제프티'를 개발하였습니다. 니클로사마이드는 코로나19를 포함한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에 효능이 있지만, 낮은 흡수율과 짧은 혈중 유효 약물 농도 유지시간이 문제였습니다. 현대바이오는 특허기술로 이 난제를 극복하여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주가 분석

현대바이오의 주가는 제프티의 개발 성공과 함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니클로사마이드의 범용적 효능이 입증될 경우, 주가는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시장에서의 반응과 판매 실적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1.5. 진원생명과학(011000)

코로나 치료제 개발 및 주가 변화

진원생명과학은 입으로 복용 가능한 코로나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코로나 대유행 시기에 최대 2778%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2020년 1월 1337원이던 주가는 2021년 7월 8일 3만 8483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임상 2상 승인 소식과 동물 실험 효과 확인 등의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미래 전망

진원생명과학의 주가는 임상시험 결과와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에 따라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치료제의 상용화 여부에 따라 큰 성장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6. 셀리드(299660)

백신 개발 및 임상 시험 현황

셀리드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내 연구실에서 설립된 바이오벤처기업으로, 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 및 감염성 질환 예방백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AdCLD-CoV19-1 OMI'에 적용된 독자적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 기술에 대해 미국과 러시아 특허 등록이 결정되었습니다. 현재 국내외에서 임상 3상을 진행 중입니다.

주가 분석

셀리드의 주가는 백신 개발과 임상 시험 진행 상황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입니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에서의 특허 등록 결정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향후 임상 3상 결과에 따라 주가는 큰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2. 투자자 유의사항 및 전망

2.1. 기업 연구개발 진행 상황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들은 각자의 연구개발(R&D) 진행 상황에 따라 주가가 큰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신풍제약의 경우 피라맥스의 임상시험 진행 상황이 주가 변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일동제약은 엔시트렐비르정의 개발 및 생산 준비가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한국비엔씨는 안트로퀴노놀의 생산 계획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대바이오의 제프티 개발 역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진원생명과학과 셀리드 역시 각각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진행 상황에 따라 주가가 변동합니다.

2.2. 규제 기관 승인 여부

규제 기관의 승인은 백신 및 치료제 관련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동제약의 경우 엔시트렐비르정이 일본에서 정식 승인을 받으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규제 기관의 승인은 주가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신풍제약, 현대바이오, 진원생명과학 등도 각각의 제품이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을 경우 주가 상승이 기대됩니다. 반면, 승인 지연이나 실패는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3. 장기적 성장 가능성 평가

백신 및 치료제 관련주는 단기적인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역시 중요합니다. 신풍제약과 현대바이오는 코로나19 외에도 다른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며, 이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진원생명과학과 셀리드는 백신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국비엔씨와 일동제약도 코로나19 외의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각 기업의 장기적인 연구개발 계획과 재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아인(A.I.N) | 이수봉 | 서울시 중랑구 동일로 859, 가동 2층 C-77호 | 사업자 등록번호 : 621-22-62106 | TEL : 070-8200-2854 | Mail : financier82@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20-서울중랑-1855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